공간과 인물 묘사에 탁월한 이야기꾼,

테일러 쉐리던의 ‘윈드 리버’

 

by. 한마루

 

 

<이미지: 유로픽쳐스>

 

차가운 눈으로 뒤덮인 고요한 설원 ‘윈드 리버’를 맨발로 달리던 소녀. 갑자기 피를 토하고 쓰러지더니 숨이 멈춘다. 윈드 리버에서 흔하지 않은 의문의 죽음을 수사하기 위해 FBI 신입 요원 제인이 파견되지만, 쉼 없이 내리는 눈에 뒤덮인 사건 현장은 시작부터 난항을 겪는다. 소녀의 죽음이 3년 전 윈드 리버에서 발생했던 살인사건과 닮은 부분이 있음을 알아챈 목격자이자 야생동물 사냥꾼 코리가 제인의 사건 수사에 공조하면서 두 사람은 윈드 리버의 어두운 진실에 다가서게 된다. 과연 고요한 마을 윈드 리버에 어떤 비밀이 있는 것일까.

오는 9월 14일 개봉 예정인 <윈드 리버>는 외진 곳에서 발생한 의문의 사건을 수사하며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전체적인 시놉시스만 놓고 봤을 때 익숙하게 보아온 구성임에도 연출과 각본을 맡은 ‘테일러 쉐리던’의 이름을 듣는 순간, 이 작품에 특별한 호기심과 기대감이 든다.

 

 

<윈드 리버>를 연출한 ‘테일러 쉐리던’ 감독은 누구?

 

<이미지: IMDB>

 

<신세계>, <대호>에 이어 <VIP>를 연출하면서 감독으로 확실히 자리매김한 박훈정 감독은 이전에 <악마를 보았다>, <부당거래>의 각본을 쓴 작가 출신이다. <윈드 리버>를 연출한 테일러 쉐리던 역시 탁월한 스토리텔링으로 인정받은 시나리오 작가에서 감독으로 나선 케이스다. 충무로보다 훨씬 규모가 큰 할리우드에서 이런 예를 쉽게 찾을 수 있는데도 테일러 쉐리던이 주목받는 이유는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던 그의 전작들 때문이다.

 

<이미지: 메가박스(주)플러스엠 / 롯데엔터테인먼트>

 

2016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3개 부문 후보에 오른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 다음 해 아카데미 시상식 4개 부문 후보에 오른 <로스트 인 더스트>는 테일러 쉐리던의 손길에서 탄생한 작품이다. 범죄를 끌어들인 스토리텔링에 작가로서 유감없이 역량을 발휘했던 그가 이번에는 직접 쓴 각본으로 연출에 나선 것이다.

이미 2011년 <바일 – 게임 오브 더 페인>이란 B급 공포물을 연출한 적 있지만, 지금처럼 큰 주목을 받지 못했을뿐더러 그가 쓴 각본도 아니었다. 이후 <썬즈 오브 아나키>에 출연하며 배우 활동을 했던 테일러 쉐리던은 절치부심의 각오라도 한 것일까. 세 인물이 엮어내는 팽팽한 긴장이 일품인 <시카리오>와 현재의 미국 사회를 반영한 21세기 서부극 <로스트 인 더스트>로 단숨에 할리우드가 주목해야 할 작가로 변신했다. 그의 두 번째 연출작 <윈드 리버>는 지난 5월 칸 영화제에 초청받아 ‘주목할만한 시선’ 부문 감독상을 수상했다. 범죄 스릴러에 타고난 이야기 솜씨를 발휘했던 그였기에, 칸에서 인정받은 <윈드 리버>에 쏠리는 관심은 당연한 일이다.

 

 

테일러 쉐리던의 작품 속 ‘공간들’

 

<이미지: 메가박스(주)플러스엠 / 롯데엔터테인먼트>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의 멕시코 후아레스:
<시카리오>는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시로 꼽히는 미국과 멕시코의 국경 도시 ‘후아레스’가 등장한다. 한때는 호황을 누렸지만 지난 십여 년 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사라지고 죽어나간 곳이다. 끔찍한 범죄와 어둠이 장막처럼 뒤덮인 그곳에도 여느 곳과 마찬가지로 평범한 일상 역시 존재한다. 악명 높은 범죄 도시 ‘후아레스’의 이중성은 영화 속 주인공 ‘케이트’가 겪었던 혼란 가득한 심리, 더 나아가 “내가 믿고 있던 세상이 무너졌을 때의 공허함과 무기력함’과 같은 내면을 묘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로스트 인 더스트>의 텍사스:
<로스트 인 더스트>의 배경이 되는 공간은 황량하고 메마른 공기가 가득한 텍사스다. 낡고 메말랐으며 황량하고 생기라고는 찾을 수 없는, 드넓은 텍사스의 황야는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는 영화 속 두 형제의 현실이 그대로 투영된 장소다. 또한 수단은 변했지만 오래전부터 쭉 이어진 ‘착취의 역사’를 드러내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미지: 유로픽쳐스>

 

그렇다면 <윈드 리버>의 눈 덮인 설원 ‘윈드 리버’는?
이처럼 테일러 쉐리던 감독의 작품 속 공간은 단순히 공간의 기능뿐 아니라 등장인물의 심리와 배경과도 연결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윈드 리버>에서 인적 드문 외진 곳이자 눈 덮인 설원이라는 공간은 어떤 역할을 하게 될까. 진실이 밝혀지지 않은 오래전 살인 사건과 또다시 벌어진 살인사건의 배후가 서린 그곳의 비밀이 무엇일지, 어떤 의미심장한 역할을 할지 궁금해진다.

 

 

<어벤져스>의 두 배우, ‘제레미 레너’와 ‘엘리자베스 올슨’의 만남

 

<이미지: 유로픽쳐스>

 

<시카리오>의 ‘케이트'(에밀리 블런트)와 ‘알레한드로'(베니치오 델 토로), <로스트 인 더스트>의 ‘토비'(크리스 파인)와 ‘태너'(벤 포스터)로 대표되는 두 작품 속 캐릭터들은 서로 대비되는 모습으로 뚜렷한 존재감을 남겼다. <윈드 리버>는 노련한 사냥꾼과 신입 FBI 요원이 사건의 배후를 뒤쫓는 인물로 등장하는데, 바로 여기에 마블 유니버스의 두 배우, 제레미 레너와 엘리자베스 올슨이 각각의 인물을 맡았다.

‘어벤져스’ 시리즈의 원년 멤버 ‘호크아이’와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서 합류해 ‘스칼렛 위치’로 대중적인 인지도가 높은 두 배우의 조합은 당연히 작품의 외적인 흥미도 끌게 한다. ‘어벤져스’에서 히어로로 등장했던 두 사람은 테일러 쉐리던의 범죄 스릴러 영화에서 어떤 호흡을 발휘할까. 특히 제레미 레너는 이 영화를 통해 <허트 로커> 이후 최고의 찬사를 받고 있다.

작가로서 경력은 짧음에도 자신만의 세계관을 구축하며 연출에 도전한 테일러 쉐리던의 <윈드 리버>. 한 소녀의 죽음이 이끌 어두운 비밀이 무엇일지는 오는 9월이면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