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 다운 면모였다. 디즈니 실사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이 당초 예상보다 높은 개봉 성적과 함께 주말 박스오피스 1위로 데뷔했다. 개봉 전 평단의 반응이 다소 부정적이었지만, 두 달 전 비슷한 평가를 받고도 여전히 멈출 줄 모르는 흥행가도를 달리고 있는 [알라딘]과 함께 평단의 평가가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입증한 셈이다. 역시 ‘추억’과 ‘음악’, 그리고 ‘좋은 원작’을 갖춘 작품의 힘이란 대단하다. 신작이 [라이온 킹]밖에 없었던 만큼, 기존 개봉작은 한 두 계단 정도 순위가 내려갔을 뿐, 7월 3주차 북미 주말 극장가는 대체적으로 큰 순위 변동은 없었다. 다가오는 주말에는 쿠엔틴 타란티노 신작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가 개봉을 앞두고 있다. 약 3,500개 상영관에서 4,500만 달러의 오프닝을 거두리라 예상되고 있는 만큼, 2위로 주말 박스오피스에 데뷔할 것으로 보인다.
[7월 3주차 상위권/전체 박스오피스 성적: $256,234,635/$263,421,099]
2019년 7월 3주차 북미 주말 박스오피스
1. 라이온 킹 (The Lion King) ( New )
로튼토마토: 53% / 89%
메타스코어: 55
상영관 수: 4,725
주말수익: $191,770,759
북미누적: $191,770,759
전세계누적: $543,613,160
제작비: $260,000,000
상영기간: 1주 (3일)
다소 부정적이었던 평단의 반응은 기우일 뿐이었다. 디즈니 [라이온 킹]이 1억 9,100만 달러라는 엄청난 성적으로 북미 극장가를 평정했다. 여러모로 놀라운 기록인데, 역대 7월 개봉작 중 최고 오프닝일 뿐만 아니라 역대 북미 개봉 성적 7위(기존 1위는 [해리포터와 죽음의 성물 2]), 올해 개봉작 중에서는 [어벤져스: 엔드게임]에 이어 2위에 해당하는 성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역대 최고 상영관 수인 4,725개에서 개봉했고 마케팅 비용도 어마어마하게 들어간 만큼 돈으로 밀어붙인 물량공세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으나, 첫 주 성적만 놓고 보면 그만큼 수요가 있었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다. 현지에서는 [라이온 킹]이 디즈니 실사 프로젝트 중 북미 성적 1위를 달리고 있는 [미녀와 야수]를 넘어 최대 5억 3,500만 달러를 벌어들일 것으로 예상 중이다.
[라이온 킹]의 해외 흥행도 순탄하다. 중국시장에서 다소 부진했던 [알라딘]과 달리 개봉 2주차에 벌써 9,750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영국과 프랑스, 멕시코, 호주 등 세계 각지에서 말 그대로 돈을 ‘쓸어 담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일주일째 박스오피스 1위를 지키며 260만 관객 이상을 동원하고 있는 중인데, 작년부터 올해 초까지 다소 부진했던 실사 영화들을 제외하고 개봉하는 족족 몇 억 달러는 우습게 벌어들이는 디즈니의 행보가 놀랍기만 하다. 최근 샌디에이고 코믹콘에서 마블 스튜디오가 ‘헉’ 소리 나는 MCU 페이즈 4 라인업을 공개했는데, 당분간 디즈니를 이길만한 스튜디오가 있을는지 모르겠다.
2.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Spider-Man: Far From Home) ( ↓ 1 )
로튼토마토: 90% / 95%
메타스코어: 69
상영관 수: 4,415 (-219)
주말수익: $21,202,431 (-53.3%)
북미누적: $319,861,843
전세계누적: $970,861,843
제작비: $160,000,000
상영기간: 3주 (20일)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이 사자왕의 포효에 밀려 2위로 내려왔다. 주말 성적도 절반 이하로 떨어졌지만, 현재까지 북미에서 3억 1,900만 달러, 전 세계 극장가에서는 무려 9억 7,0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흥행가도를 이어가고 있는 중이다.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이 [007 스카이폴] 이후 8년 만에 맞이하는 월드와이드 10억 달러 영화이자 모든 [스파이더맨] 시리즈 통틀어 가장 높은 성적을 기록할 예정인 작품인 만큼, 소니 픽쳐스 입장에서는 효자가 따로 없다. 이전 배급작이었던 [맨 인 블랙 인터내셔널]의 참담한 성적을 생각하면 더더욱 이 작품의 흥행이 반가울 듯하다. 17년째 ‘북미에서 가장 성공한 [스파이더맨] 영화’ 타이틀을 거머쥐고 있는 샘 레이미 [스파이더맨]의 기록(4억 달러)을 깰 수 있을지에 관심이 기울어지고 있는데, 3주차까지의 성적을 놓고 본다면 [파 프롬 홈]이 앞서고 있으나 주말 성적이 매번 큰 폭으로 떨어지고 있어 개인적으로는 힘들 것이라 조심스레 예상해본다. 샘 레이미, 당신은 대체…
3. 토이 스토리 4 (Toy Story 4) ( ↓ 1 )
로튼토마토: 98% / 94%
메타스코어: 84
상영관 수: 3,750 (-460)
주말수익: $15,551,086 (-25.8%)
북미누적: $376,484,435
전세계누적: $861,206,047
제작비: $200,000,000
상영기간: 5주 (31일)
7월 셋째 주말 박스오피스 3위는 [토이 스토리 4]가 차지했다. 개봉 5주차까지 북미와 전 세계 스코어는 각각 3억 7,640만 달러와 8억 6,100만 달러. 지난주 역대 픽사 애니메이션 북미 흥행 5위에 올랐던 것에 이어 픽사 월드와이드 흥행 성적 5위에까지 앉게 됐다. 올해 애니메이션 개봉작 중 최고 흥행성적을 기록 중이기도 한데, 올해 연말 개봉을 앞둔 [겨울왕국 2]가 이 기록을 깰 수 있을지도 궁금하다. 그래봤자 디즈니가 디즈니를 이기는 것이지만 말이다.
4. 크롤 (Crawl) ( ↓ 1 )
로튼토마토: 83% / 76%
메타스코어: 61
상영관 수: 3,170
주말수익: $6,095,561 (-49.2%)
북미누적: $23,930,371
전세계누적: $33,830,371
제작비: $13,500,000
상영기간: 2주 (10일)
지난주 3위로 데뷔했던 R등급 공포영화 [크롤]이 4위에 앉았다. 1위부터 3위까지와 견주었을 때 600만 달러라는 금액이 다소 적게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제작비 대비 좋은 흥행 성적, 평단의 호평, 그리고 확고한 타깃 관객층에게 확실하게 어필하고 있는 사실을 보면 꽤나 성공적인 행보를 걷는 중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전 세계 누적 성적은 3,300만 달러.
5. 예스터데이 (Yesterday) ( – )
로튼토마토: 63% / 89%
메타스코어: 56
상영관 수: 2,662 (-93)
주말수익: $5,020,835 (-25.2%)
북미누적: $57,517,300
전세계누적: $98,017,300
제작비: $26,000,000
상영기간: 4주 (24일)
대니 보일의 [예스터데이]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5위에 앉았다. 비록 다른 신작들에 밀려 상대적으로 주목은 덜 받았으나, 개봉 이후 지금까지 중상위권을 지키며 꾸준하게 성적을 올리고 있다. 현재 북미와 월드와이드 성적은 5,700만 달러와 9,800만 달러. 북미에서는 [슬럼독 밀리어네어]에 이어 두 번째로 5,000만 달러를 넘는 대니 보일의 작품으로 기록되며, 월드와이드 1억을 넘길 경우 커리어 사상 세 번째로 1억 달러를 넘기게 되니 [예스터데이]가 여러모로 대니 보일에게 의미 있는 작품이 될 것으로 보인다.
6. 스투버 (Stuber) ( ↓ 2 )
로튼토마토: 42% / 79%
메타스코어: 42
상영관 수: 3,050
주말수익: $4,115,279 (-50.0%)
북미누적: $16,197,143
전세계누적: $21,439,143
제작비: $16,000,000
상영기간: 2주 (10일)
이변은 없었다. 지난주 실망스러운 성적으로 데뷔했던 R등급 액션 코미디 [스투버]가 6위로 내려왔다. 2주차 주말 간 410만 달러를 더한 영화의 북미 성적은 1,600만 달러, 가까스로 제작비를 넘긴 금액이다. 디즈니에서 6년 만에 배급한 R등급 영화라는 점, 그리고 두 MCU 스타 데이브 바티스타와 쿠마일 난지아니([이터널스] 출연 확정)의 케미가 돋보일 것이라 기대되었으나 지금까지의 성적은 낙제에 가깝다. 하반기 기대작으로 꼽히는 브래드 피트 주연의 SF 스릴러 [애드 아스트라]가 이십세기폭스의 어깨도 좀 펴주고, 디즈니를 미소 짓게 할 수 있을지 기대된다. [애드 아스트라]도 안된다면, [포드 V 페라리]가 다음 타자다.
7. 알라딘 (Aladdin) ( ↓ 1 )
로튼토마토: 56% / 94%
메타스코어: 53
상영관 수: 2,105 (-452)
주말수익: $4,085,424 (-33.8%)
북미누적: $340,326,138
전세계누적: $989,112,529
제작비: $183,000,000
상영기간: 9주 (59일)
정말이지 사람 ‘Speechless’하게 만드는 흥행이다. 개봉 9주차에 들어선 [알라딘]이 7위를 차지하며 놀라운 뒷심을 과시했다. 지난주 아쉽게 월드와이드 10억 달러를 넘지는 못했으나, 현재 성적으로 보나 흥행 속도로 보나 이 작품이 ‘10억 달러 영화’가 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현재 북미 성적은 3억 4,000만 달러, 국내에서도 1,100만 관객을 넘기면서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와 [해운대], 그리고 [변호인]의 뒤를 바짝 추격 중이다.
8. 애나벨 집으로 (Annabelle Comes Home) ( ↓ 1 )
로튼토마토: 64% / 70%
메타스코어: 53
상영관 수: 1,981 (-1,228)
주말수익: $2,601,687 (-53.7%)
북미누적: $66,523,888
전세계누적: $196,023,888
제작비: $30,000,000
상영기간: 4주 (26일)
컨저링 유니버스의 막내 [애나벨 집으로]가 한 계단 아래로 내려오면서 8위를 차지했다. 4주차까지의 북미와 전 세계 누적 스코어는 6,600만 달러와 1억 9,600만 달러. 분명 제작비 이상의 성과를 거둔 것이긴 하지만, 시리즈 중 가장 낮은 성적([요로나의 저주] 제외)을 거둔 것도 그렇고 시리즈를 향한 대중의 기대치가 한없이 낮아진 게 아쉽기만 하다. 이런 취급을 받을 프랜차이즈가 아닌데…
9. 미드소마 (Midsommar) ( ↓ 1 )
로튼토마토: 82% / 61%
메타스코어: 73
상영관 수: 1,105 (-1,602)
주말수익: $1,596,447 (-56.5%)
북미누적: $22,479,475
전세계누적: N/A
제작비: $10,000,000
상영기간: 3주 (19일)
결국 ‘호불호’의 높은 벽을 넘지 못했다. 아리 에스터의 [미드소마]가 159만 달러의 주말 성적과 함께 9위로 주말을 마무리했다. 평단의 평가는 좋지만 3주차 주말 간 상영관이 무려 1,602개나 줄어들고 주말 성적도 절반 이하로 떨어진 만큼, 사실상 [미드소마]의 흥행 레이스가 끝났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현재 북미 성적은 2,200만 달러.
10. 마이펫의 이중생활 2 (The Secret Life of Pets) ( ↓ 1 )
로튼토마토: 59% / 90%
메타스코어: 55
상영관 수: 1,380 (-940)
주말수익: $1,535,065 (-52.1%)
북미누적: $151,556,230
전세계누적: $318,556,230
제작비: $80,000,000
상영기간: 7주 (45일)
[마이펫의 이중생활2]가 10위로 내려오면서 상위권에서 물러날 채비를 마쳤다. 7주간 상위권을 지켰던 이 작품의 북미와 전 세계 수익은 1억 5,100만 달러와 3억 1,800만 달러. 본전 이상의 성적을 거둔 것은 분명 반가운 소식이나, 일루미네이션 작품 중 가장 저조한 성적을 기록한 영화 중 하나(최하위는 2011년작 [바니버디(Hop)])로 남게 된 만큼 속편 제작에 차질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작이 워낙 잘됐으니 그 이상을 바라는 것은 욕심일지 몰라도, 절반에도 못 미치는 성적을 거둘 줄 누가 알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