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영 전만 해도 [다크홀]에 대한 기대가 컸다. 장르물에 능한 OCN이 주 장르였던 스릴러에서 한발 나아가 크리처물에 도전한 데다, 주연배우 김옥빈의 강인한 이미지와 이준혁이 보여줄 새로운 모습이 궁금했다. 싱크홀, 검은 연기, 변종인간라는 설정도 흥미로웠다. 하지만 아쉽게도 현재까지 기대감은 좀처럼 채워지지 않는다.

이미지: OCN

드라마는 갑자기 거대한 싱크홀이 생기고, 그 안에서 흘러나온 검은 연기가 도시 전역을 뒤덮으면서 벌어지는 생존 사투를 그린다. 연기를 흡입한 사람들이 공격적으로 돌변하면서 무지시는 생지옥이 되고, 가까스로 살아남은 소수의 이들은 연기와 변종인간을 피해 생존을 꾀한다. 생존자들은 두려움에 사로잡힌 채 정체불명의 괴현상뿐 아니라 그들 사이에 싹트는 불신, 극한의 이기심과도 맞서야 한다.

[다크홀]은 좀비, 크리처, 오컬트, 스릴러가 한 작품에 공존하는 복합장르다. 먼저 인간성을 상실한 변종인간은 [워킹 데드], [부산행] 등으로 친숙한 좀비를 떠올린다. [미스트]의 안개가 생각나는 검은 연기 속에는 인간의 정신을 조종하는 듯한 촉수 형태의 괴생명체가 숨어있다. 모시던 신에게 버림받은 무당 김선녀는 이를 새로운 신으로 받아들이고 사람들 사이에서 혼란을 조장한다. 그리고 광수대 형사 이화선은 남편을 살해한 연쇄살인범 이수연의 행적을 쫓아 무지시에 내려왔다.

이미지: OCN

장르 마니아가 혹할 만한 요소를 고르게 배합했지만, 기존 작품과 차별화되는 매력이 크게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극을 채우는 여러 요소가 몰입을 저해한다는 인상을 준다. 전개는 산만하고, 다양한 갈등 구조는 피로감을 유발한다. 이화선을 무지시로 오게 한 살인범의 존재감은 겉돌고, 3회에 등장한 사이비 종교는 억지스러우며, 사람들을 선동하는 무당은 가속이 붙어야 할 서사를 자꾸만 늘어뜨리는 것 같다.

의도는 이해가 된다. “위기에 처한 사람들이 살아남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하고, 어떤 가치를 지키려 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라는 김봉주 감독의 설명대로 드라마는 극한의 상황에서 발현되는 인간 본성에 초점을 맞춘다. 변종인간이 좋은 예다. 검은 연기를 흡입한 사람들이 내면의 억압적인 기억이나 공포와 마주하는 환각에 빠져 폭력적인 성향으로 변하면서 변종인간이 되는 반면, 이화선은 연기를 마셨음에도 트라우마에 굴복하지 않고 정신력으로 버티며 사람들을 돕기 위해 앞장선다.

무당, 학교 이사장, 살인범, 퇴학생을 통해서는 인간의 악한 본성을 끄집어낸다. 두려움이 팽배한 위기의 상황에서 무당은 군중심리를 이용해 사람들을 현혹하고, 이사장은 오직 자신만을 위해 권력으로 모든 걸 통제하며, 소시오패스 살인마는 공포를 유희로 삼고, 퇴학생은 내재된 나약함을 분노와 광기로 표출한다. 반면 이화선, 유태한, 최승태, 한동림 등은 어려운 여건에도 함께 살길을 도모하며 용기를 낸다. 다만, 선과 악의 대비가 지나치게 뚜렷해 생존자들의 갈등과 대립이 식상하게 느껴진다.

이미지: OCN

주인공 이화선과 유태한이 따로 움직인다는 점도 집중력이 흐트러지는 이유다. 숲 속 싱크홀에서 아슬아슬한 첫 만남을 가졌던 두 사람은 무지병원에서 일찌감치 갈라진다. 이화선은 병원에서 만난 간호사를 돕기 위해, 유태한은 친구 나영식을 찾기 위해 헤어진 뒤, 각자 학교와 병원에서 생존자들과 함께한다. 두 사람이 처한 상황이 다르긴 하지만, 검은 연기와 변종인간에 맞서 사투를 벌이면서 내부 문제를 겪는다는 구조로 움직이기에 이야기가 반복되고 산만한 인상을 준다. 굳이 두 그룹으로 나눠 진행하지 않아도 인간군상의 다양한 면면을 그려내며 재난물의 묘미를 줄 수 있지 않았을까 아쉬움이 든다.

한마디로 설정을 과하게 접목한 게 흥미를 반감시킨 결과가 돼버렸다. 변종인간으로 변하는 과정 자체에 핵심적인 메시지가 들어있지만, 이를 여러 형태로 나열하듯 되풀이하니 극적인 재미와 긴장감이 휘발된다. 치료제를 찾기 위해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하는 의사는 설득력마저 부족하다. 12부 중 벌써 8화까지 흘러왔지만, 이런저런 시도에 그친 애매한 드라마로 남을까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