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 개봉하는 ‘정치 영화’라니, 걱정이 앞섰던 건 사실이다. 하지만 우려가 기우였음을 깨닫기까지 오래 걸리지 않았다. ‘정치’는 하나의 영화적 장치일 뿐, [킹메이커]는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가진 두 남자의 관계성을 흥미롭게 다루며, 관객에게 도덕적 딜레마에 관한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영화는 1960~70년대 독재 정권에 맞서 민주주의를 실현시키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김운범은 ‘올바른 방식’을 고집하며 끊임없이 도전하지만 고전을 면치 못하는 정치인이다. 그런 그의 앞에 이북 출신의 서창대가 뜻을 함께하고 싶다며 나타난다. 이윽고 서창대는 파격적인 전략으로 김운범을 국회의원을 넘어 대통령 후보까지 올려놓지만, 두 사람은 ‘목적과 수단’을 달리 바라보는 가치관의 차이 때문에 충돌하면서 관계가 뒤흔들리기 시작한다.

이미지: 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

[킹메이커]의 기본적인 토대는 실제 역사에 기반한다. 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 ‘선거판의 여우’ 엄창록을 모티브로 한 김운범과 서창대를 비롯한 극중 인물들과 이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정치적 대립은 교과서에서 읽어본 내용이다. 하지만 영화는 단순한 ‘역사 재현’에 그치지 않고 한발 나아간다. 널리 알려진 실제 사건들을 통해 관객들을 끌어들이는 동시에, 극중 인물들의 이름을 실제와 달리하여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자유롭게 펼치는 시도를 선보인다

이러한 ‘자유로운 상상력’은 [킹메이커]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에서 드러난다. 영화는 김운범과 서창대의 대립을 통해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정의롭지 못한 행동은 용납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이 과정에서 올곧은 신념과 대의를 중요시하는 김운범은 빛으로, 목적을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서창대는 그림자로 표현한 연출이 돋보인다. 빛이 밝아질수록 그림자는 어두워지는 법. 김운범이 점점 높은 곳으로 올라갈수록 서창대는 ‘나도 빛나고 싶다’는 욕망에 휩싸여 어둠 속으로 빨려 들어간다. 두 사람의 가치관이 본격적으로 충돌하는 순간, 영화의 긴장감이 극에 달한다.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에서 인상적이었던 변성현 감독 특유의 ‘브로맨스’는 이 작품에서도 돋보인다. 두 사람은 독재 정치에 맞서 자신들이 생각하는 ‘정의’를 실현하고자 의기투합한 동료로 시작했으나, 점차 서로를 의심하며 멀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 속에서도 여전히 상대방을 애틋하게 생각한다. 이 같은 복합적인 감정은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에 과몰입하도록 이끈다. 극 초반부 서창대가 김운범에게 “약이 될 수도, 독이 될 수도 있다”라며 건넨 애기똥풀이 두 사람의 관계를 함축적으로 드러낸다. ‘서로가 약이 될수도, 독이 될 수도 있는 관계’는 우리 주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만큼, 두 사람의 변화하는 감정선과 관계성은 공감을 얻기에 충분하다.

이미지: 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

김운범과 서창대를 연기한 설경구와 이선균의 존재감은 가히 압도적이다. 실존 인물이 모티브인 작품의 경우 이들의 외형적인 모습에만 집중하는 우를 범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두 사람은 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 엄창록이 아닌, 각각 ‘김운범’과 ‘서창대’ 그 자체로 영화에서 존재감을 드러낸다. 여기에 실존 인물을 연상케 하면서도, 저마다의 차별화된 캐릭터를 완성시킨 유재명, 조우진, 박인환, 이해영, 서은수, 김종수, 윤경호, 그리고 배종옥의 탄탄한 연기력은 극에 활력을 더한다

[킹메이커]는 여러모로 ‘보는 재미’가 있는 영화다. 빼어난 미장센과 연출 때문에도 그렇지만, 정치 스릴러, 근현대사 시대극, 브로맨스 영화 등 각기 다른 관객들이 원하는 장르적 요소를 놓치지 않고 잘 담아냈다는 의미다. 올해 본 한국 영화 중 단연 기억에 남는 작품이 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