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의 새 드라마 [소년심판]은 오늘날 한국 소년범죄의 현실을 다각도로 조명함으로써 한국을 넘어 청소년 범죄를 고민하는 전 세계 시청자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소년범죄의 원인뿐 아니라 소년범 처벌 그 이후까지 넓게 살피며 징벌 아니면 교화, 두 가지 방향으로만 뻗어나가는 우리의 사고를 “그다음”으로 넓힌다.

[소년심판]은 본인 스스로 “소년범을 혐오한다.”라고 말하는 판사 심은석이 연화지방법원 소년부에 부임하면서 시작된다. 현실적인 해결법을 추구하는 부장판사 강원중과 소년범에게 온정적인 동료 판사 차태주에게, 심은석은 행위에 책임이 따름을 자각하지 못하는 소년들에게 “법이란 게 얼마나 무서운지”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한다. 심은석은 법정에서 소년범에게 그들의 행위가 잘못이며 범죄라는 점을 매섭게 일깨운다. 그러면서 범죄를 저지른 소년뿐 아니라 소년을 보호하고 교육해야 하는 어른들의 책임도 꼬집는다. 행위에는 책임이 따르고 범죄에는 처벌이 있어야 하지만, 절박한 아이들의 손을 잡아주지 않은 어른들도 반성해야 한다고 말이다.

드라마는 소년부 판사들을 통해 소년범과 소년범죄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제시한다. 심은석은 엄격한 처벌, 차태주는 믿음과 온정, 강원중은 소년범의 교화라는 원칙을 먼저 생각한다. 이들이 우선하는 가치는 판사로서의 경험뿐 아니라 이들의 과거, 현재와 관련되어 있다. 드라마는 한 인간으로서 이들이 겪은 고통과 삶이 송두리째 무너지는 위기를 스토리라인에 결합해, 법을 가장 잘 알고 그래서 가장 공정하다고 자신하는 판사들이 법 앞에서 무력해질 수 있음을 잘 보여준다. 

이미지: 넷플릭스

[소년심판]은 “소년범은 왜 합당한 처벌을 받지 않는가?”라는 분노와 의문 너머의 풍경을 보여준다. 소년범이 처벌을 받은 후 어떻게 생활하며 반성과 재기의 기회를 얻는지, 그런데 왜 다시 범죄에 빠지는지 등 우리가 궁금했던 것이나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까지 모두 포함한다. 시청자는 드라마를 통해 소년범죄 관리감독의 충격적 실태를 접한다. 소년원은 이미 포화 상태이고, 일부 민간의 선의로 운영되며, 관리 감독 담당자가 맡는 소년범의 수는 너무 많다. 

이런 현실적 한계 때문에 판사들은 소년범죄 사건 처리에 있어 다른 원칙을 들며 충돌한다. 강원중의 후임인 나근희 부장판사는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적체된 소년범죄를 빠르게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정확한 사실 관계 파악과 엄정한 처벌을 우선하는 심은석과 갈등을 빚는다. 드라마는 나근희가 그런 입장을 가진 현실적 이유와 그 때문에 안타까운 피해를 입은 사람들을 모두 보여주며, 시청자가 양쪽의 입장을 모두 생각하게 만든다. 

개인의 책임과 사회 환경의 영향을 모두 고려하는 균형 잡힌 시각, 시청자의 경직된 사고를 확장하려는 시도는 [소년심판]의 가장 큰 매력이다. 이는 각본, 연출, 연기의 삼박자가 고르게 어우러진 결과다. 김민석 작가는 생애 첫 드라마 집필작에서 수년간 법원 소년부를 취재한 것을 바탕으로 소년범죄의 복잡한 양상을 입체적으로 그려낸다. 홍종찬 감독은 각본의 뉘앙스를 섬세하게 표현하고 배우들에게서 훌륭한 연기를 이끌어내는 연출을 보여준다. 

이미지: 넷플릭스

드라마의 가장 큰 무기는 배우들의 연기다. 판사와 법원 직원을 맡은 베테랑 배우들의 노련한 연기는 극 전반을 이끌고, 소년범 역을 맡은 신예 배우들은 뜨거운 에너지로 시청자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그 가운데 김혜수가 있다. 첫 등장부터 시선을 집중시킨 김혜수는 심은석이라는 입체적 인물을 그려내면서 동료 배우, 특히 신인들과 호흡을 맞출 때 그들이 모든 것을 보여주도록 이끈다. 캐릭터와 작품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고 최선을 다해 시청자에게 전달하며, 30년 넘게 최고의 자리를 지킨 명배우다운 연기를 보여준다.

최근 몇 년간 소년법 폐지를 외치는 목소리가 높다. [소년심판]은 엄벌주의를 주장하는 사람들과 교화라는 원칙을 고수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말한다. 소년범죄는 그렇게 단순하게 볼 게 아니며, 소년 개인과 가정, 사회, 국가 모두가 얽힌 복잡한 실체를 제대로 보지 않으면, 오늘도 소년법정에서 판사를 마주하는 청소년이 나오게 될 것이라고 말이다. 드라마가 목놓아 외치는 메시지를 귀담아 들어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