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Jacinta

 

 

이미지: CGV 아트하우스

 

[원더스트럭]은 토드 헤인즈 감독의 필모에서 독특한 지점을 차지한다. 그의 영화에서 처음으로 아이들이 주인공으로 나선다. 놀랍긴 해도 그의 영화 속 독특한 이력의 주인공들을 떠올리면, 감독의 낯선 선택이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지 기대감도 든다. [원더스트럭]은 영화의 원작 소설을 쓴 브라이언 셀즈닉이 직접 각본을 맡아 서로 다른 시대를 살아가는 두 아이의 환상적인 여정을 아름다운 감동으로 펼쳐 보인다.

1927년과 1977년, 다른 시대를 살아가는 두 아이의 여정은 선명하게 다른 온도로 교차하며 흘러간다. 대공황이 닥치기 전 1927년, 청각장애가 있는 ‘로즈’는 위압적인 아버지의 통제에서 벗어나 선망하는 여배우의 재기 무대를 보기 위해 뉴욕으로 떠난다.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로즈의 이야기는 눈빛과 제스처, 이미지가 리듬감 있게 흘러가는 흑백의 무성영화 표현 방식을 빌려와 낭만적인 활기로 부드럽게 감싼다.

오일 쇼크 이후 혼돈이 교차하는 1977년, 사고로 엄마를 잃은 ‘벤’은 우연히 발견한 유품에서 어떤 이야기도 듣지 못한 아빠의 흔적을 찾아낸다. 그날 밤 갑작스러운 사고로 청력을 잃지만, 가족 몰래 뉴욕행 버스에 올라타 아빠를 찾아 나선다. 상실과 그리움, 혼돈이 뒤섞인 심리를 반영하듯 벤이 도착한 뉴욕의 거리는 펑크 음악과 강렬한 색채의 빈티지 스타일이 무질서하게 혼재해 있다. 흑백과 무성, 컬러와 유성으로 구현한 두 대조적인 미장센을 통해 매혹적인 신비감을 조성하며 50년의 시차를 유려하게 넘나 든다.

 

 

이미지: CGV 아트하우스

 

불가사의한 동화 같은 이야기는 자연사박물관을 접점으로 서서히 좁혀 들기 시작한다. 영화는 두 아이의 비밀스러운 연결고리를 드러내는데 서두르지 않는다. 호기심 가득한 로즈가 박물관 구석구석을 누빌 동안, 벤은 자신처럼 외로운 제이미를 만나 유대를 쌓아가며 그곳에서 그들만의 공간을 공유한다. 카메라는 두 아이의 동선을 세심하게 따라가며, 박물관에 신비롭고 환상적인 공간감을 부여한다. 박물관은 무언가를 전시하는 단조로운 이미지를 벗고 비밀과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이후 경이로운 반전을 선사한다.

주인공의 연령대가 낮아졌을 뿐, 정체성과 관계를 탐구해온 감독의 관심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살아온 배경과 동기는 달라도 아이들은 가족의 상실과 청각장애라는 공통점이 있다. 전작 [캐롤]에서 두 여성의 사랑에 찬란한 축복을 내려줬다면, [원더스트럭]은 척박한 환경에도 꿈을 포기하지 않는 순수한 아이들에게 동화 같은 마법을 선사한다. 영화에서 인용하는 오스카 와일드의 ‘시궁창 속에서도 우리 중 누군가는 별을 바라본다’라는 말은 이 영화가 품은 메시지를 단적으로 드러낸다.

클래식과 대중음악, 효과음을 활용한 사운드 디자인도 탁월하다. 음악은 상반된 두 시대의 공간감을 확장하고, 들을 수 없는 아이들이 처한 상황과 감정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이미 여러 영화에서 나온 데이빗 보위의 ‘Space Oddity’는 다시 들어도 감성을 건드린다. 엔딩 크레디트에서 아이들의 합창 오케스트라 버전으로 흐르며 영화가 전하는 아름다운 메시지에 잔향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