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과함께] 시리즈를 통해 기술력과 이야기를 동시에 잡은 김용화 감독이 이번에는 우주에 도전한다. [더 문]은 사고로 인해 홀로 달에 고립된 우주 대원 선우(도경수)와 필사적으로 그를 구하려는 전 우주센터장 재국(설경구)의 사투를 그린 영화다.

2029년, 대한민국의 달 탐사선 우리호가 달 착륙을 앞두고 태양 흑점 폭발로 위기에 처한다. 5년 전, 모두가 보는 앞에서 공중 폭발로 사라진 나래호의 악몽이 다시 떠오르는 이 때, 또 다른 비극을 막기 위해 우리호의 유일한 생존자 선우를 귀환시킬 수 있는 전임 나로 우주센터장 재국을 소환한다. 하지만 그의 힘만으로 선우를 구하기는 역부족이다. 이에 자신과 인연이 있는 현 NASA 메인 디렉터 문영(김희애)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우주 미아가 된 선우는 과연 두 사람의 도움으로 무사히 지구에 돌아올 수 있을까?

이미지: CJ ENM

[더 문]의 최대 매력이자 하이라이트는 역시 우주다. 실제 그곳에 있는 듯한 현실감과 스케일 속에 여러 위협 장치가 쉴 새 없이 계속되어 긴장감을 유발한다. 화려한 볼 거리 가득한 이 작품은 한국영화 최초로 돌비시네마 포맷에 맞춰 제작되었다고 한다. 여러모로 돌비, 아이맥스 등 대형 특별관에 어울리는 영화다.

그렇다고 영화는 기술 뽐내기에 그치지 않는다. 오락영화로서 본 분을 잃지 않는 서사 속에 아슬아슬한 사건과 사고를 흡입력 있게 표현한다. ‘우주영화’가 아닌 ‘재난영화’의 장르적 재미를 그대로 건넨다. 특히 후반부로 갈수록 다이나믹한 시퀀스와 볼거리가 쉴 새 없이 나와 보는 내내 짜릿하다.

이미지: CJ ENM

설경구-도경수-김희애로 이어지는 세 배우의 관계와 연기도 인상적이다. 세 주인공 모두 5년 전 사고에 트라우마를 가지고 있는데, 우주에 고립된 선우를 구출하려는 재국과 문영의 고군분투로 조금씩 치유해가는 모습이 감성을 자극한다. 이 같은 연출은 김용화 감독 [신과함께]에서도 효과를 발한 공식이다. 관객의 눈물샘을 자극하지만 억지스럽지 않고, 오히려 위기에 처한 인물을 구해야 하는 확실한 동기로 다가와 극의 설득력을 더한다.

물론 [더 문]도 아쉬운 점이 있다. 냉정하게 말해 [마션], [인터스텔라], [그래비티] 등 여러 할리우드 우주영화에서 봤던 소재와 서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한국 기술로 재현한 무한한 공간은 탄성을 자아내지만, 신선함은 덜하다. 선우를 구출하는 방법도 드라마틱하지 못하며, 충분히 예측가능한 것도 영화의 단점이다.

그럼에도 [더 문]은 기대 이상의 기술력과 CG효과가 어우러지며 우주를 향한 한국영화의 발걸음에 힘을 보탠다. 여타 우주영화에서 만나기 힘든 캐릭터들의 교감도 의미 깊다. 인물들의 절박함을 호소력 있게 표현한 배우들의 연기력은 소재의 거대함에 함몰되지 않고 작품의 매력을 부각한다. 후반부 밝혀지는 비밀 앞에 의지를 다지는 이들을 보고 괜히 울컥한 것도 이 때문이다. 영화는 러닝타임 내내 우주의 신비를 다뤘지만, 끝나고 나서는 지구 그리고 사람 냄새가 더 그리워질 듯하다.